• 글로벌 커뮤니티
    • 언어:
      • Deutsch
      • English
      • Español
      • Français
      • Português
  • 日本語コミュニティ
    일본어 사용자를 위한 전용 커뮤니티
  • 한국 커뮤니티
    한국어 사용자를 위한 전용 커뮤니티
종료

노래파일와 영상싱크가 안맞습니다..! (그냥 안맞는게 아니라 진짜 최악임..ㅠㅠ)

신입 ,
Dec 24, 2024 Dec 24, 2024

클립보드로 링크 복사

복사됨

 

노래영상(립싱크)과 음악파일의 싱크를 맞춰놓았는데

건들지도 않았는데 자꾸 마음대로 움직입니다.

 

예를 들면 노래1_최종_효과.mp4를 00:04:26:19로 맞춰놨어요!

근데 후에보면 00:04:26:29로 되어있어요! 파일을 잠궈놔도 앞뒤로 움직입니다.

대사를 하는 장면도 있는데, 대사는 싱크가 안밀리는데... 노래만 하면 그러네요.

사실 에프터이펙트도 그럽니다.

혹시 방법 아시는 분 계실까요? 너무 괴롭네요...ㅠㅠ 싱크 맞춰놔도 다 틀어져있어요ㅠㅠㅠㅠ

 

스크린샷 2024-12-25 오전 10.25.27.png

 

제목
편집

조회수

81

번역

번역

신고

신고
커뮤니티 가이드라인
게시판 이용시 매너를 지켜주세요. 콘텐츠의 원본 출처를 밝혀 주세요. 중복되는 질문이 있는지 확인해보신 후 게시물을 작성해주세요. 자세히 알아보기
community guidelines

correct answers 정답 1개

Adobe 직원 , Dec 25, 2024 Dec 25, 2024

혹시 가변 프레임으로 촬영된 MP4파일 일까요?

가변 프레임으로 촬영된 영상은 고정프레임을 기본 지원하는 프리미어 시퀀스에서 프레임이 계속 뒤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해당 가변 프레임의 영상을 한번 고정프레임의 영상으로 변환하고 나서 오디오 파일과의 싱크를 맞춰보세요.

 

특히 스마트폰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가변프레임 촬영이 설정이 되어 있기때문에 

일정시간 녹화한 동영상 파일이 있을 때 매 초당 프레임의 개수가 모두 같다면 고정 프레임 레이트 이며, 매 초당 프레임 수가 하나라도 다르다면 가변 프레임 레이트입니다.

 

예를 들어서, 5초간 화면을 녹화하고 초당 30프레임으로 정확하게 녹화되었다면 고정 프레임 레이트이며, 5초간 화면을 녹화했는데 중간에 3~4초 사이에 초당 프레임이 30프레임 아니라 25 프레임으로 녹화되었고 나머지는 초당 30이라면 가변 프레임 레이트입니다.

 

단, 예외적으로 맨 마지막 프레임 수는 제외입니다. 4.5초간 녹화했고, 4초전까지 매 초

...

투표

번역

번역
Adobe 직원 ,
Dec 25, 2024 Dec 25, 2024

클립보드로 링크 복사

복사됨

혹시 가변 프레임으로 촬영된 MP4파일 일까요?

가변 프레임으로 촬영된 영상은 고정프레임을 기본 지원하는 프리미어 시퀀스에서 프레임이 계속 뒤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해당 가변 프레임의 영상을 한번 고정프레임의 영상으로 변환하고 나서 오디오 파일과의 싱크를 맞춰보세요.

 

특히 스마트폰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가변프레임 촬영이 설정이 되어 있기때문에 

일정시간 녹화한 동영상 파일이 있을 때 매 초당 프레임의 개수가 모두 같다면 고정 프레임 레이트 이며, 매 초당 프레임 수가 하나라도 다르다면 가변 프레임 레이트입니다.

 

예를 들어서, 5초간 화면을 녹화하고 초당 30프레임으로 정확하게 녹화되었다면 고정 프레임 레이트이며, 5초간 화면을 녹화했는데 중간에 3~4초 사이에 초당 프레임이 30프레임 아니라 25 프레임으로 녹화되었고 나머지는 초당 30이라면 가변 프레임 레이트입니다.

 

단, 예외적으로 맨 마지막 프레임 수는 제외입니다. 4.5초간 녹화했고, 4초전까지 매 초마다 30프레임으로 정확하게 녹화되었지만 마지막 0.5초는 30프레임보다 같거나 작아도 상관없습니다.

동영상 재생이 목적인 경우 VFR(가변 프레임)을 선택합니다.

대부분의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의 경우, 압축 효율이 좋은 VFR(가변 프레임 레이트) 방식을 지원하기 때문에, 동영상 편집 목적이 아닌 경우에는 VFR을 사용합니다.

동영상 편집이 목적인 경우 CFR(고정 프레임)을 선택합니다.

어도비 프리미어(Adobe Premiere)와 같은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의 경우 프로젝트 패널의 프레임 설정 자체를 가변으로 변경할수 없고 설정할수 있는 시퀀스 프로젝트 프레임이 고정이 되어 있기 때문에 가변프레임의 영상을 올리면 오디오와 비디오의 싱크가 맞지않고 타임라인이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는것입니다.

이 경우 가변 프레임 영상을 고정프레임으로 인코딩을 진행후 작업을 하시면 문제없이 영상 편집이 가능하실것입니다. 

 

투표

번역

번역

신고

신고
커뮤니티 가이드라인
게시판 이용시 매너를 지켜주세요. 콘텐츠의 원본 출처를 밝혀 주세요. 중복되는 질문이 있는지 확인해보신 후 게시물을 작성해주세요. 자세히 알아보기
community guidelines
신입 ,
Jan 09, 2025 Jan 09, 2025

클립보드로 링크 복사

복사됨

최신

 

맞습니다. 가변프레임으로 촬영된 MP4파일이여서 제가 'handbrake' 라는 인코딩 프로그램으로

29.97FPS로 맞춰서 작업을 진행했거든요!

근데도 여전히 싱크가 뒤죽박죽이네요.. .ㅠㅠ 다른 방법 또 있을까요?

프리미어프로, 에프터이펙트 둘다 2025 최신 버전쓰고있습니다~! 

투표

번역

번역

신고

신고
커뮤니티 가이드라인
게시판 이용시 매너를 지켜주세요. 콘텐츠의 원본 출처를 밝혀 주세요. 중복되는 질문이 있는지 확인해보신 후 게시물을 작성해주세요. 자세히 알아보기
community guidel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