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커뮤니티
    • 언어:
      • Deutsch
      • English
      • Español
      • Français
      • Português
  • 日本語コミュニティ
    일본어 사용자를 위한 전용 커뮤니티
  • 한국 커뮤니티
    한국어 사용자를 위한 전용 커뮤니티
종료

비트레이트(bitrate)의 결정 요소는 무엇입니까?

탐험가 ,
Aug 11, 2023 Aug 11, 2023

클립보드로 링크 복사

복사됨

안녕하세요.

 

장편 영화 한 편의 MOV(422HQ) 파일은 대략 170mbps의 비트레이트를 갖습니다. 애플 프로레스가 이 분야에서는 업계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압축률 대비 품질이 괜찮아서겠지요.

 

 

H.264는 가벼운 상영용 스크리너 용도로 쓰입니다. 3Gb~20Gb까지 다양한 품질로 익스포트를 합니다. 블루레이 제작 시에는 20Gb~25Gb 까지... H264치고는 꽤나 고용량의 데이터로 나오는데요.

 

 

궁금한 것은,

 

1) H.264 코덱이 가질 수 있는 최대의 비트레이트(데이터 전송률, 주로 Mb per sec)는 몇인지... 편집툴에서 최대의 옵션을 걸고 뽑아 봐도... 소스 영상(422HQ의 파일)에 따라 들쭉날쭉 합니다. 어떤 녀석은 최대로 뽑아도 20mbps가 한계이고... 같은 셋팅에서 어떤 녀석은 60mbps까지 올라갑니다.

 

 

2) 동영상 파일의 비트레이트를 결정하는 요소들에는 뭐가 있는지... 제 추측으로는... 영상 소스 내에 움직임이나 컬러 정보가 많다면 비트레이트도 높게 뽑히는 것 같은데 이건 그냥 추론입니다.정적인 영화라고 해서 꼭 가벼운 파일로 나오는 것 같지도 않구요... 

 

혹시나 해서... 영상의 화면비(상하로 들어가는 검은 레터박스의 비율)에 따라 달라지는 것인가도 생각해봤습니다.생각해보면 2.35:1의 영화는 1.85:1의 화면비를 가진 영화보다 훨씬 더 적은 양의 색정보/밝기 정보를 포함하겠지요... 그런데.. 그렇다고 해서 1.85:1 화면비를 가진 영화들이 꼭 고용량으로 뽑히는 것도 아니더랍니다...

 

 

 

혹시... 인코딩 하는 PC의 사양에 따라 결과물이 달라질 수도 있는 건 아닌지... 이건 아니겠죠... 같은 옵션인 앉은 자리마다 다른 파일을 만들어 낸다면...

 

 

 

같은 두 시간 짜리 영상인데... 왜 어떤 영화는 최대가 20Gb이고... 어떤 영화는 60Gb 용량으로 나오는 것일까요...

 

제목
가져오기 및 내보내기

조회수

23

번역

번역

신고

신고
커뮤니티 가이드라인
게시판 이용시 매너를 지켜주세요. 콘텐츠의 원본 출처를 밝혀 주세요. 중복되는 질문이 있는지 확인해보신 후 게시물을 작성해주세요. 자세히 알아보기
community guidelines
no replies

추가할 사항이 있으신가요?

대화 참여